최근 업데이트: @6/16/2025
대시보드는 현장에서 점검자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중심 인터페이스로, 한눈에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한 작업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핵심 도구입니다. 대시보드는 점검기술자의 업무 흐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, 실시간 데이터 연동과 간단한 조작으로 현장 작업의 정확성과 생산성을 높입니다.
•
업무 흐름 최적화: 대시보드에서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는 점검자의 작업 흐름을 간소화하고, 작업 간의 연속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.
•
직관적 인터페이스: 한눈에 주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UI 설계로, 현장에서 불필요한 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극대화합니다.
•
작업 우선순위: 진행 상태와 일정별 정보를 제공하여, 점검자는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작업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.
1.
고객현황:
고객현황은 점검자의 담당 고객 배치 현황을 관리점수를 기준으로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지표입니다. 이는 단순히 고객의 수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, 점검대상의 가중치(관리점수) 합산점수를 기반으로 고객 배치현황을 시각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상단 수치: (배정된 고객) 관리점수 총합 / (본인에게 할당된)총 관리점수
막대그래프: 백분율
예를 들어, 총 가용 관리점수가 70점이고, 현재 배정된 고객들의 관리점수 합이 31.9점이라면, “31.9점 / 70점 (46%)” 형태로 표시됩니다. 이를 통해 점검기술자는 회사에서 자신에게 배당된 총 가용점수와 고객 배치 현황을 파악하고 영업적으로 추가 고객 배치 가능 여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.
2.
점검진행률:
점검진행률은 점검자가 한 달 동안 수행해야 할 전체 안전점검 업무를 관리점수 기준으로 수치화하여, 현재까지의 작업 진행 상황을 백분율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 점검진행률은 다음 수식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:
상단 숫자: 누적 수행 관리점수 / (배정된 고객) 총 관리점수
막대그래프: 백분율
점검자가 아래의 A, B, C, D고객을 담당하며, 각 고객별 관리점수와 점검횟수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합니다.
A고객 | B고객 | C고객 | D고객 | 합산 | |
관리점수
(가중치) | 1 | 2 | 3 | 4 | 10점 |
점검횟수 | 1 | 1 | 2 | 2 | 6회 |
회당 관리점수 | 1 | 2 | 1.5 | 2 |
이 경우, 총 6회의 점검을 통해 관리점수 10점이 누적되는데, 예를들어 A 1회 + B 1회 + C 1회 = 총3회의 점검을 했다면, 현재까지의 누적 수행 관리점수는 4.5점으로 전체의 45%를 수행한 셈입니다.
이 지표를 통해 점검기술자는 자신의 작업 진행 상황을 수치로 확인하며, 효율적인 일정관리를 돕습니다.
3.
날짜 선택 및 전환:
점검 일정 설정이나 기록 조회 시 날짜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팝업 형태의 캘린더에서 날짜를 선택하거나, 좌우 전환 버튼을 사용해 빠르게 날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.
4.
오늘의 점검일정 목록:
오늘의 점검일정은 점검자가 특정일을 기준으로 해당 일에 수행해야 할 점검일정을 체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. 대시보드에서는 Daily 형태로 구성되어, 해당 날짜의 일정만 표시됩니다
•
일정 중심의 구성
Daily 형태로 특정 날짜의 점검 일정만 표시되어, 당일 수행해야 할 작업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작업 누락을 방지하고, 일정 관리의 효율성을 높입니다.
•
정렬과 상태 표시를 통한 작업 집중도 향상
일정별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작업 집중도를 높이고 중복 작업을 방지합니다.
•
직접 접근을 통한 신속한 대응
각 점검기록 항목에서 세부사항 화면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, 필요한 작업을 신속히 실행하고 현장에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5.
하단 메뉴바:
앱의 핵심 메뉴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도구로,점검자의 작업 시간을 절약하고, 편리한 네비게이션을 제공합니다.
6.
신규생성:
다양한 신규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•
점검기록: 새로운 안전점검 기록을 생성할 수 있어요.
•
출동보고서: 고객의 요청으로 긴급 출동시 조치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어요.
•
업무일지: 그날 그날의 업무일지를 생성해서 기록으로 남길 수 있어요.